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5

수학자들의 대화, 우리는 왜 수학을 연구하는가 수학자 1: 우리가 지금 수학을 알아가는 가치에 대한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수학을 왜 하냐라는 질문이기도 해요. 수학자 2: 네, 맞아요. 이런 질문에는 정해진 정답이 없지만, 사실은 저는 작은 사람이라서, 야망이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어서 하는 얘긴데, 저에게는 그냥 수학 공부하는 거 자체가 재밌고, 알아가는 과정이 재미있어서 하는 거예요. 유명하거나 업적이 있어야 한다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어필하기 위해서 하는 건 아니거든요. 수학자 1: 성취를 추구하는 게 아니라는 거지요. 수학자 2: 맞아요, 그렇지요. 저는 모든 것이 저에게 맞춰져 있는 것 같아요.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싶다거나 그런 건 수학을 하는 이유와 아무 상관이 없어요. 게다가 저는 그런 쪽에 대해서는 약간 회.. 2023. 6. 29.
가장 간단한 미분방정식 풀어보기 교수님00:02 다까수 두 번째 시간 오신 모두들 환영하구요. 수학을 저희가 배울 때 있어 가지고 어떤 갖고 있는 여러 선입견들을 좀 해소해 나가는 것도 필요한데요. 그중에서 특히 이제 입시의 영향을 받아서 갖게 된 선입견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게 문제가 나오면 풀 수 있어야 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풀면 나는 잘하는 거고, 못 풀면 내가 좀 멍청한 거고 그냥 누군가는 풀 테니까라는 정서를 저희가 갖는데요. 인간의 입장에서요 대부분의 문제는 못 풀어요. 정확하게는 한 99.99 %의 수학 문제는 인간이 못 큽니다. 인간이 푸는 건 아주 그중에서 극소수의 희소한 아주 여러 가지 이유가 있어서 어떤 운 좋게 풀리는 경우들이 대부분이거든요. 교수님00:53 그래서 저희가 문제를 단순히 어떤 이제 이런 식으로 누군.. 2023. 6. 29.
이 수업에서 하고자 하는 것 다까수 첫 시간에 오신 분들 다 환영합니다. 이 시간이 반년 갈지, 1년 갈지, 뭐 이상일지 이하일지는 지금 모르겠지만, 그 기본적으로 참여하시는 분들이 있으시면 계속 하게 될 거 같구요 매주. 뭐 다 기본적으로 취지들을 알고서 들어오셨겠지만, 한 차례 더 좀 설명을 좀 드리겠습니다. 정말로 다 까먹으신 분들한테 도움이 되고자 하는 취지에서 만들고자 하는 건데요. 제가 좀 약간 생각하는 타겟은 어느 경우냐면 소위 말해서 군대 갔다 와서 복학하고 다 까먹은 엉아들을 제가 상상을 하거든요 마음속으로. 어떠한 이공계 쪽으로 대학을 갔어요. 근데 보통 이제 군대에 뭐 지금은 좀 더 줄긴 했지만, 이 년 갔다 오면 진짜 다 까먹고 오거든요. 교수님00:52 그리고 나서 이제 어떤 헤매던 그런 엉아, 옛날에 제가 .. 2023. 6. 29.
덧셈과 곱셈에 대해 명제의 관점에서 생각해보기 왕초보험마의 수학 공부 두 번째 시간이고 지난 시간에는 저희가 어떤 방식으로 어떤 얘기들을 할지를 간략하게 얘기를 했고 오늘부터도 뭐 똑같습니다. 별 다른 거는 없는데요. 제가 지난번에 어떤 같이 생각해보자고 매개체 정도로 덧셈과 곱셈에 대해서 좀 생각을 해보자고 말씀을 좀 드렸어요. 기본적으로 정답이 전혀 없는 질문이거든요. 그리고 각자의 생각의 방향에서 이걸 어떻게 되어야 된다라는 어떤 필요조건이 있는 그런 것도 아니에요. 그래서 혹시 해보신 생각들 중에서 좀 나눠보고자 하시는 것들 있으시면 나누고 시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수학초보님부터 시작해주시면, 어떨까 싶은데요. 이제 처음 시간에 이제 선생님께서 철학과 인제 수학에 대해서 인제 차이점을 인제 질문하셨고 그다음에 인제 덧셈과 곱셈에 대해서 인.. 2023.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