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왕초보 엄마의 수학공부 (왕엄수)4

덧셈과 곱셈에 대해 파고들어서 사유해보기 다음 글은 유튜브 채널 수학의 즐거움, Enjoying Math에서 왕초보 엄마의 수학교실의 세번째 시간에 나눈 대화의 핵심을 정리한 것입니다. 자세한 질의응답 및 디스커션 들은 해당 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가 보통 연산이라고 하면 대개 사칙연산으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떠올리곤 합니다. 그러나 생각해보시면 뺼셈은 덧셈으로부터, 나눗셈 또한 곱셈으로부터 파생되기에 실질적으로는 주로 덧셈과 곱셈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에 대해 더 파고들어서 먼저는 덧셈과 뺄셈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춰볼까요? 사실 이 질문은 당연한 질문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려서 우리가 비록 편의상 사칙연산이라고 부르지만, 엄밀히 말하면 덧셈과 곱셈만 연산에 해당하며 뺄셈과 나눗셈은 수학적으로 연산으로 .. 2023. 7. 3.
수학적으로 맞는 말을 한다는 것의 의미 다음의 글은 유튜브 채널 '수학의 즐거움, Enjoying Math'의 매주 월요일 수업 왕초보 엄마의 수학교실의 두번째 수학 수업에서 일부 내용의 핵심을 축약한 것입니다. 자세한 디스커션을 살펴보고자 하시면 해당 영상을 채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는 초등학교 때 사과 한 개와 사과 한 개를 양 손에 들고 있는 것을 '1+1=2'로 '추상화' 하자고 배웠습니다. 그러면 '1+1=2' 라는 추상적인 문장은 더이상 사과의 갯수에만 국한 되어서 적용되지 않고 수많은 예시들을 품는 문장이 됩니다. 이는 구체적인 예시에서 일반적인 개념을 도출하는 방식 입니다. 수학적으로 생각해보기 위해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수학적으로 명확한 개념보다는 나에게 와닿는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생각하는 것입니다. 수학 하는.. 2023. 7. 2.
덧셈과 곱셈에 대해 명제의 관점에서 생각해보기 왕초보험마의 수학 공부 두 번째 시간이고 지난 시간에는 저희가 어떤 방식으로 어떤 얘기들을 할지를 간략하게 얘기를 했고 오늘부터도 뭐 똑같습니다. 별 다른 거는 없는데요. 제가 지난번에 어떤 같이 생각해보자고 매개체 정도로 덧셈과 곱셈에 대해서 좀 생각을 해보자고 말씀을 좀 드렸어요. 기본적으로 정답이 전혀 없는 질문이거든요. 그리고 각자의 생각의 방향에서 이걸 어떻게 되어야 된다라는 어떤 필요조건이 있는 그런 것도 아니에요. 그래서 혹시 해보신 생각들 중에서 좀 나눠보고자 하시는 것들 있으시면 나누고 시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수학초보님부터 시작해주시면, 어떨까 싶은데요. 이제 처음 시간에 이제 선생님께서 철학과 인제 수학에 대해서 인제 차이점을 인제 질문하셨고 그다음에 인제 덧셈과 곱셈에 대해서 인.. 2023. 6. 29.
이 시간에 하고자 하는 것 이 글은 유튜브 채널 '수학의 즐거움, Enjoying Math'에서 매주 월요일 밤에 진행 중인 '왕초보 엄마의 수학교실'의 첫 시간 수업을 다시 정리한 것입니다. 이 수업은 실제로 미국에서 수학자로 사는 아들이 수학을 다 까먹으신지 몇십년이 지나신 어머니 및 채널의 참여를 원하시는 분들과 함께 진행 되는 대화식 수업 입니다. 처음부터 웃음이 나오는군요. 여러분, 환영합니다. 왕초보 엄마의 수학 교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시간의 취지를 간단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기본적으로 고령화와 저출산이라는 문제가 있고, 50~60대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퇴직하면서 많은 고민을 안고 있으며,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IT 친화적인 직업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2023.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