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5

3. 확률론은 미적분학을 랜덤의 시야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 영상은 수학의 즐거움, Enjoying Math 채널의 기하학적 통계 (이하 기통) 시리즈의 3번째 영상을 다시 정리한 것입니다. 핵심을 축약해서 정리한 것이므로 풀 디스커션을 보시려면 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가령 가우시한 형태의 함수가 나온다고 했을 때, 이 함수는 기본적으로 확률 분포 를 지칭합니다. 이 개념을 수학적으로 정확하게 할려면 확률 측도라는 개념, probability distribution, probability measure 라는 개념을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 블록이 측도론의 measure space예요. 그래서 소위 Sample Space라고 부르는 걸 제가 보통 오메가 $\Omega$로 적고 시그마 필드를 보통 에프 $F$라고 적고 필요하면 설명을 할게요 그리고 마.. 2023. 7. 1.
수학이란 애증의 대상에 대하여, 프로불편러 정호빈 선생님 1편 화자 1 01:05 안녕하세요. 화자 2 01:07 그리고 오늘의 게스트분께서는 애증의 수학 이야기를 들려주신다고 하시는데요. 간단하게 자기소개 해주시죠. 화자 1 01:15 네 안녕하세요. 저는 정호빈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지금까지는 아니고 앞으로 얘기하겠지만, 저는 수학과에서 쭉 전공으로 공부를 했었다가 지금은 인공지능 쪽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네 구체적으로는 AI 반도체 쪽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화자 2 01:36 네 벌써 역대급 스멜이 나는데요. 네 자 오늘 이야기 듣기 전에 첫 시간이니까. 오늘 진행 방법 간단하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게스트 분이 이야기를 시작하신 뒤에 질문이 있으면 화면에 손바닥이 가득 차도록 카메라에 손을 보여주시면 되겠습니다. 연습 해볼까요? 하나 둘 셋, 좋습니다.. 2023. 6. 30.
수학을 다 까먹은 내가 미분에 대해 알아갈만한 이유 이 글은 '수학의 즐거움, Enjoying Math'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 중인 '다 까먹었지만 수학은 하고싶어' (이하 다까수)의 세번째 수업 (https://youtu.be/eruJ6t4u7Qc) 을 일부 정리한 것입니다. 우리가 어떤 것을 배울 때는 왜 배우는 걸까요? 단순히 배운 점수를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배워서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당연한 말입니다. 또한, 제 말에 설득되지 않도록 오히려 좀 더 설득의 장벽을 높이는 의도로 이야기를 듣는 것을 원합니다. 따라서, 만약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 이러한 주장이 충분히 설득력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 보면서 까칠한 관점을 취해주시길 바랍니다. 이야기에 수긍하실 생각으로 듣지 마시고 괜.. 2023. 6. 30.
공대생이 수학 박사과정을 도전하게 되었던 과정 제가 수학 박사로 진로를 정해왔던 일련의 과정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먼저, 학부 시절부터 시작해보죠. 저는 기계공학을 전공했습니다. 그러나 수학 쪽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건담 같은 애니메이션을 좋아해서 기계공학을 선택한 것이었죠. 그래서 대학교에 진학한 후에도 이런 생각으로 기계과를 선택했고, 스무 살 때부터 독립을 해서 등록금은 장학금으로 충당하고 용돈은 과외로 벌어서 지내왔습니다. 독립을 해야 했기 때문에 장학금을 받기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했습니다. 이삼 학년까지는 기계공학에 필요한 전공과목들을 모두 이수했고, 다른 전공 공대 과목들도 들었습니다. 비록 공대 과목들이 많이 어려웠지만 저에게는 흥미로웠습니다. 그래서 밤을 많이 새면서도 즐겁게 공부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2023. 6. 29.
반응형